애니 정보

십이대전 애니소개

뤼케 2021. 5. 16. 14:45
728x90
반응형

이야기 시리즈의 작가 니시오 이신의 소설이며 일러스트는 나카무라 히카루가 담당했다. 국내에는 미정발 상태다. 그러나 오오기리가 국내에 정발되면서 관련작인 십이대전 또한 정발 가능성도 그나마 올라간 상태이지만 아직까지 소식이 없다.

 

 

애니줄거리

서로의 생명과 긍지를 걸고 열두 명의 전사들은 투쟁 - 단 하나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니시오 이신 혼신의 소설 × 나카무라 히카루의 일러스트. 최고의 배틀로얄 소설 개전

 

 

애니 세계관

전체적인 줄거리는 위와 같지만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작인 12회 십이대전에서는 12개의 보석을 모두 모은자가 승리하는 것인데 이것이 단순히 보석을 찾는 것이 아니라 십이지 전사 모두가 보석을 먹어야 하고 몸 안에 있는 보석을 얻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 보석은 진짜 보석이 아닌 독의 결정체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화되어 섭취자를 죽이기에 쓸데없이 시간을 끌지 못하게 만들어져 있다.

세계관도 독특하여 인구 50만명 정도 되는 도시에서 십이대전 자체가 무슨 공식 경기 마냥 정기적으로 여러번 진행되고 있으며, 전쟁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는 설정이라 '전장에서 만나고 싶지 않은 전사'같은 앙케이트도 있다.

십이지 전사의 선발은 십이대전을 운영하는 자들이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이노우 토시코의 경우에는 선대 이노우노시시였던 아버지의 지명[1]인 것을 보면 선대의 후계자들이 그대로 출전한다.[2] 이런 점들을 보면 같은 배틀로얄이자 팬들이 비교하고 있는 페이트 시리즈의 시작의 세 가문과 유사한데 실제로 타츠미 형제 과거 에피소드에서 간지 12가문이 언급되었다.

사실 Fate 시리즈의 성배전쟁은 소규모의 인간들끼리 이루는 전쟁이지만 십이대전은 사실 국가를 건 전쟁인데 십이대전의 우승자에 따라서 세계지도가 달라진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진다.

사실 어느 정도 짐작은 가능한 부분이기는 했다. 십이대전에 사용한 대전의 한자는 '大戦'인데 1대1 싸움 같은 경우에는 대전을 '對戰'을 사용한다. 본작에서 사용한 '大戦'은 세계대전 같은 대규모 전쟁에서 사용한 한자였다.

또한 장소도 매 십이대전마다 달라지는데 히츠지이가 참여한 제 9회의 경우에는 우주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각 전사들은 서로 만나면 무슨 전사이며 죽이는 방식, 그리고 이름을 말하는 것이 원칙인데 이것은 이미 죽어서 말도 못하고 머리가 잘린 시체를 만나더라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사들 간의 예의로 보이며, 상징하는 단어[3]는 전부 음독이 아니라 훈독으로 말한다.[4]

십이대전은 본작 세계관은 상당히 중요한 존재로 보이는데 전쟁이 일으키는 메인 요소로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십이지 전사는 각 국가의 대리전쟁이라는 형식이기 때문인데 후속작인 십이대전 대 십이대전에서 닥터 피니쉬의 묘사를 보면 십이대전을 막으면 전쟁을 없앨 수 있다는 식으로 보여주었다.

세계지도가 어떤 형태인지는 명확하게 모르지만 일본이라는 국가는 그대로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 십이대전의 주역인 간지 12가문은 전원 일본인이며 네즈미가 다니고 있는 학교도 평범한 학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후속작인 십이대전 대 십이대전의 사수자리의 전범 운스리 사지타리의 소개문에서 '일식'을 싫어한다는 소개문이 있는 것을 보면 일본이라는 국가 자체는 그대로 있는 것이 거의 확실해보인다.

그 외에 소원은 1인당 하나의 소원이 원칙으로 보이지만 듀오디큐플에 말에 따르면 소원 하나를 이용해서 소원을 부풀려서 100개의 소원을 이루어주는 것 또한 가능하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방영시기는 2017년 10월. 감독은 호소다 나오토. 공교롭게 4분기 내에서는 본작을 포함해 배틀로얄 작품이 많다. 발표 자체는 몇 달 전부터 했으며 공식 홈페이지에 보면 십이지 운세라는 것이 있다. 스토리는 원작이 정발되지 않아서 자세히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원작 라노벨이 1권 완결 작품인지라 오리지널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애니맥스가 가져갔는데 현지와 다르게 1주일 늦게 방송하지만 대신 1, 2화 연속으로 방영한다. 작품 자체는 분기 내애서는 어느 정도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미 누가 죽는지 패턴을 알아버렸다는 사람이 많다.[스포] [9] [10]

BD는 총 6권으로 발매되며, 각 권마다 앞뒤로 십이지 전사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1권 앞은 이노우노시시, 뒷면은 도츠쿠 이런 식. 초동 판매량은 1천 6백 장 정도로 다른 분기에 비교하면 중~하위권정도로 숫자로만 보면 저조한 편이다.

오리지널 사운드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십이지 전사 전원과 심판인 듀오디큐플까지 자신의 테마곡을 가지고 있다.

3월 3일에 이벤트를 연다고 하는데 원래는 이노우노시시 역의 히카사 요코가 참전해야 하는데 인풀루엔자에 걸려서 토라 역의 이가라시 히로미가 대신 참여한다고 한다.

2월 말에 무슨 발표가 있을 거라고 하는데 팬들이 생각하는 것으로 블루레이 특전 아니면 십이대전 대 십이대전 애니화가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2019년 3월 1일부로 넷플릭스에 등록되어 스트리밍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넷플릭스 버전에서는 노출신과 피 묻은 칼 등에 모자이크 처리가 되어있다.

 

 

애니 평가

오리지널 장면을 지나칠 정도로 많이 넣는 바람에 평가가 깎인 작품. 모든 작품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십이대전의 경우에는 장르의 특성상 나쁘게 적용되었다.

초반에는 박진감 넘치는 배틀물이 될 거라는 예상과 함께 큰 기대를 건다는 반응이 많았다. 1화의 경우 작화 퀄리티도 좋았고, 니시오 이신의 서술트릭을 가미없이 보여줌으로써 4분기의 다크호스라 여기는 팬들도 많았다.

그러나 전개가 진행되면서 작화 퀄리티가 눈에 띄게 떨어져 작화 붕괴가 발생하기 사작하고, 무성의한 연출이 이어지면서 비판이 늘고 있다.[15] 스토리 면에서도 초반부에는 신선하다는 반응을 얻었던 12전사들의 탈락 방식이 전개가 진행될 수록 오히려 독이 되어 비판을 받고 있다. 분명 12명이서 죽고 죽이는 배틀로얄 방식인데도, 정작 내용은 그 화에서 탈락될 12전사의 과거 이야기에 더 초점을 맞추는데다가 전투도 대단한 것 없이 간결하게 쓱싹하는 식이기 때문. 여기에 본래 단권 완결이었던 원작의 내용을 1쿨 12화로 늘리는 과정에서 다소 예상되는 전개로 인해 특유의 장점인 니시오 이신의 반전마저 희석되었다.

가장 크게 비판 받는 점은 상술한 대로 죽는 순서가 너무 뻔히 보인다는 것과[] 과거 회상은 실컷 해놓고 바로 그 캐릭터를 허무하게 죽여버린다는 것.[] 설정 상으로는 한명 한명이 세계관 상으로 강자라지만 대다수가 제대로 싸우는 모습도 보이지 못하고 허무하게 죽는 모습을 보이는 탓에 전투 장면이 긴장감이 없고 매우 맥 빠진다. 게다가 과거 회상 부분도 일부 캐릭터들을 제외하고는 개연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바람에 시청자들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었다.[18]

게다가 전사들간의 밸런스 붕괴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우사기. 사실상 작중 대부분의 전사들은 우사기의 능력인 시체조종 하나에 썰려나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결과적으로는 1권이라는 짦은 분량을, 또 무리하게 1쿨 애니 분량으로 맞추려고 니시오 이신 스타일을 집어넣으려다 니시오 이신의 단점만 회자된 실패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최종화까지 다 본 사람들은 네즈미의 소원을 이루는 장면이나 다른 전사들의 소원을 말하는 부분에서는 인상에 남았다고 말하는 시청자들과 허무하다고 말하는 시청자들로 나누지만 대체적으로 소설에서 비판받았던 상궤에 벗어난 전개, 어리둥절하게 만드는 십이대전에 대한 의의까지 심화시켰다. 특히 호불호가 갈리는 니시오 이신 스타일의 문제이기 이전에 주구장창 같은 패턴으로 흘러가다보니 매너리즘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무엇보다 라노벨에선 1페이지로 요약하는 전사들의 개인사를 분량 늘리려고 애니 오리지널 장면을 넣어서 부풀린다는 것부터 작위적이고 시청자에게 억지로 주입을 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이게 되다보니 공감을 받을 수 없었던 작품으로 마무리 짓게 되었다.

평가와는 상관없는데 애니메이션 방영할 때에 그에 대한 버프인지 후속작인 십이대전 대 십이대전이 순위권안에 들어갔는데 당시 애니메이션 방영이 국내에서는 별로 안좋은 후반부에 발매한 것을 보면 니시오 이신의 기존 팬들이 많은 것인지 아니면 니시오 이신과 상관없이 일본 내에서 인기가 있는 것인지 자세히 모르지만 전자일 경우가 높다.

728x90
반응형